◈---글자료/♣스크랩자료
프로테우스 효과
손경형
2011. 5. 5. 17:58
[여적]세대 갈등
‘프로테우스 효과’(Proteus Effect)란 말이 있다. 자신의 외모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외부로 드러나는 행동에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행동과학 연구진이 가상현실의 아바타에 따라 실제 일상생활의 행동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고,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변신의 귀재이자 바다의 신인 프로테우스를 끌어다 붙인 이름이다. 프로테우스 효과는 행동과학자들이 가상현실의 아바타를 통해 사람들의 실제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양한 실험에 활용되고 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영태 교수(인구학)가 인구변화에 따른 50년 뒤 한국의 사회상을 논문으로 그려냈다. 조 교수는 고령화에 따른 부정적 결과로 ‘세대간 갈등 심화’를 꼽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현재의 40대인 이른바 ‘386세대’의 역할을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시절 정치 참여 경험을 지닌 1960년대 출생자들이 나이 들어서도 노인의 정치적 이익집단화를 주도하며 자녀·손자 세대와 밥그릇 싸움을 벌일 것이란 예측이다.
장기예측은 현 상태가 지속된다면 그럴 수 있다는 것이지 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뜻은 아니다. 예측의 기능은 주체들이 부정적인 미래로 가지 않게 현실을 바꿀 것인가를 묻는 데 있다. 틀리는 예측이 좋은 예측이란 역설이 가능한 이유다. 세대 갈등에 대한 예측이 미래의 현실이 될지, ‘좋은 예측’이 될지는 이젠 ‘486’으로 불리는 지금의 40대들에게 달려있는지도 모른다. 조 교수의 예측을 ‘프로테우스 효과’의 가상현실에 빗댄다면 486의 미래 아바타는 손자세대와 다투는 그악스러운 노인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