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라이프] 우리들교회 김양재(60) 목사를 처음 만난 것은 2004년 4월경으로 서울 대치동 휘문고등학교내 조그만 교회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했다. 당시 개척 1년 6개월 정도 된 우리들교회는 휘문고 식당을 예배장소로 사용하고 있었다. 출석 성도는 600여명 남짓.
목회가 어려운 강남 중심부에서 50을 넘긴 여성 목회자가 개척한 교회의 성장 스토리를 듣기 위해서 휘문고를 찾았었다. 김 목사의 첫인상은 기품 있는 유럽 어느 나라의 왕비와 같았다. 배경도 그럴 듯 했다. 서울예고와 서울대 피아노과 졸업. 의사와 결혼. 모습과 주위 환경이 ‘강남 아줌마’의 전형이었다.
그러나 휘문고내 교회 사무실은 너무나 초라했다. 예배 장소인 식당은 여느 학교 식당과 동일했다. 휘문고는 미션스쿨이 아니다. 우리들교회는 그곳에서 주일과 수요일에만 ‘조심스럽게’ 예배를 드릴 수 있었다. 김 목사는 큐티 목회, 즉 말씀 목회를 펼치고 있었다. 자신은 물론 전 성도들이 매일 철저하게 큐티를 하며 일상에서 말씀을 적용했다. 1년 반 동안 부흥회는 물론, 특별 집회를 한번도 하지 않았다고 했다. 당시만 해도 김 목사는 무명의 여성 목회자였다.
그로부터 6년 반이 흐른 지난 9월 말 우리들교회를 방문, 김 목사를 만났다. 그 사이 많은 것이 변했다. 교인 수는 아이들 포함해 6000여명으로 늘었다.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한국교회에서는 극히 이례적인 부흥을 했다. 김 목사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내는 책 마다 히트를 쳤다. 기독 언론 뿐 아니라 일반 언론에도 여러 차례 소개됐다. 유명 목사가 됐다. ‘건강한 교회’‘투명한 교회’‘본질의 교회’ 등이 우리들교회를 수식하는 단어가 됐다.
그러나 다시 찾은 우리들교회와 김 목사는 6년 반 전과 동일했다. 변한 것이 없었다. 교인수가 증가해 예배 장소가 식당에서 체육관으로 변했을 뿐 조그만 사무실은 여전했다. 수요일과 주일만 교회에서 예배드리고 전 교인이 큐티를 하는 것, 특별한 프로그램 없는 것도 동일했다. 다소 나이가 들어 보였지만 여전히 기품이 있었다. 교회 규모는 비약적으로 커졌으나 목회 정신과 자세는 처음과 동일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신선했다.
우리들교회는 평신도가 주체로 선 교회다. 김 목사 외에 풀타임 부목사가 2명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사역을 평신도들이 하고 있다. 말씀과 삶이 조화된 평신도 사역자들이 수백 개의 초원과 평원이라는 이름의 목장 모임을 인도하고 있다. 소위 ‘두날개교회’(교회내 교회)가 자연스레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평신도 사역자를 세울 때에 세상 배경을 보지 않는다. 농촌에서 여상을 나온 과부 집사가 새가족 담당 평신도 전도사로서 사역하고 있다. 오직 믿음만이 기준이다. 믿음이 없으면 어떤 직분도 맡을 수 없다. 그야말로 ‘믿음이 왕노릇’ 하는 교회다. 믿음으로 기준을 정하니 불평이 없다. 모두가 교회를 신뢰한다.
우리들교회는 ‘목욕탕교회’다. 모두가 발가벗고 서로의 때를 밀어준다. 예배는 물론 각 목장 모임에서 성도들은 서로의 치부를 드러낸다. 소그룹 모임에서 병원 원장이 바람 피웠던 이야기를 한다. 그런 남편을 10여 년 동안 눈물로 기다렸던 아내가 간증한다. 부도, 가출, 자녀문제 등 모두에게 ‘약함의 전공’이 있다. 그 약함 들이 오히려 사람들을 살리는 ‘약재료’가 된다. 서로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자신의 문제가 ‘깜냥’도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우리들교회가 고백의 공동체가 된 것은 김 목사가 먼저 모든 것을 오픈하기 때문이다. 유교적 전통이 강했던 시댁에서 김 목사는 질식할 것 같은 삶을 살았다. 남편으로부터 무시를 당했다. 자살도 수없이 생각했고 가출도 감행했다. 37세에 남편이 간암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어려움은 지속됐다. 그때 말씀을 붙잡았다. 매일 묵상했다. 말씀만이 살아갈 힘이었다. 말씀을 통해서 삶을 해석하기 시작했다. 마음의 혁신이 이뤄졌다. 구속사적으로 삶이 이해되기 시작했다. 말씀이 교과서가 되고, 성령이 스승 되며, 환란이 주제가 되다보니 고통스런 가정생활이 섭리임을 깨달았다. 그것은 기적이었다. 김 목사는 자신이 깨달은 말씀을 나누기 시작했다. 오는 사람마다 절망에서 소망을 발견하며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났다. 당시 그는 피아노 강사로 고가의 레슨비를 받는 풍족한 삶을 살았지만 생명이 사는 생생한 현장을 목격하면서 부르심에 순종했다. 2002년 10월 자신의 아파트에서 13가정과 함께 개척 기도모임을 시작, 지금에 이르렀다.
우리들교회는 철저히 가정 중심 교회다. 김 목사는 앉으나 서나 가정 살리는 이야기를 한다. 매주 설교에 이혼과 결혼 이야기가 들어간다. 가정 살리는 목회를 펼치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한다. 목회의 본질은 사람을 살리는 것인데 가정이 올바로 서 있지 않을 때 결코 살려지는 역사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인생에서 가장 잘 한 일이 이혼 하지 않고 가정을 지킨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들교회에는 강남주민 보다는 강북 등 타 지역 사람들이 더 많다. 김 목사는 개척 초기부터 ‘빚진 자, 원통한 자, 환란 당한 자와 함께 하겠다’는 결심을 했다. 모든 것을 오픈하면서 상한 마음의 예배를 드리기 때문에 어려운 사람들이 자원해서 찾아오고 있는 것 같다는 설명이다. 그는 늘 “천국에서 주님께서 씻겨주시는 눈물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신은 물론 타인의 죄 때문에 애통하면서 눈물 흘리며 드리는 예배를 하나님이 받으신다고 말한다.
김 목사는 목회를 위한 목회가 아니라 말씀으로 사람을 살리는데에만 집중하다보니 자연스레 본질의 목회를 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별 프로그램 없이 목회를 했는데도 교회가 커지고 조명을 받다보니 ‘프로그램 없는 것’ 자체가 프로그램화 되어 한국교회에 소개되고 있다며 웃었다.
국민일보 아이미션라이프부 이태형 부장 t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