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란 테러용의자 한국서… 충격
이란 테러용의자 3차례나 국내 잠입최근 2년 서울대 대학원서 폭발물 연구
핵정상회의 전후 의심자 검거때 붙잡혀
한국일보 채희선기자 입력 2012.04.09 02:45 수정 2012.04.09 12:13
테러리스트로 의심되는 이란인이 신분을 위장한 뒤 입국해 서울대 대학원에서 2년 간 폭발물 관련 연구로 석사학위 과정을 이수하다 적발돼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법당국은 지난달 말 열린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를 전후해 이 이란인을 포함한 탈레반, 우즈베키스탄 이슬람운동(IMU) 등 국제테러조직과 연관된 다수의 테러리스트 용의자를 검거, 추방 등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도 더 이상 국제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8일 사법당국에 따르면 이란 국적의 B(38)씨는 지난 2010년 6월 'NEEKOU'라는 이름의 가짜 신상정보와 학력 등으로 서울대 입학 허가를 받은 뒤 기계항공공학부 대학원에서 수강 및 연구 활동을 하다 지난 2월 8일 법무부 이민특수조사대에 적발됐다. 사법당국은 현재 법무부 외국인보호시설에서 B씨를 조사하며 강제추방 절차를 밟고 있다. B씨는 대학원 3학기 동안 폭발역학과 고에너지물질 및 우주탐사용 레이저 분광기술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생신분인데도 돈 씀씀이가 커, 이를 수상하게 여긴 동료 이란인이 사법당국에 신고, 수사를 벌이게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B씨는 앞서 2007년 7월에는 'NIKOO'라는 이름을 사용한 유학비자로 입국, 고려대 대학원 물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밟다가 같은 해 12월 위명여권 사용 사실이 밝혀져 추방된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B씨는 2004년부터 모두 3차례 타인 명의의 위명 여권으로 국내에 잠입해 활동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며 "국내에서 정보수집 등 테러 관련 활동을 한 직접 증거는 포착하지 못했지만 테러리스트 용의자로 볼만한 여러 의심스런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B씨는 2004년 7월 또 다른 위명여권으로 기업투자 목적의 비자를 받아 국내에 입국, 활동하다 2006년 8월 체류기간이 만료되자 프랑스 국적의 위조여권을 이용, 캐나다로 출국하려다 적발된 적도 있다. 위명여권은 이름과 생년월일 등 신상정보를 바꿔 만든 가짜 여권이지만 정부 관계자에 뇌물을 상납하는 등의 방법으로 국가 전산망에 정식 등록된 게 위조여권과 다른 점이다.
법무부 이민특수조사대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입국심사 과정에서 얼굴과 지문 정보를 대조하는 안면인식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는 등 불법 입국 검색 절차를 대폭 강화했다"고 밝혔다.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친구 방(모셔온 글) >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유 없는 반항도 장애?! 칭찬이 ‘약’ (0) | 2012.04.09 |
---|---|
강호동 150억+α 사회환원 규모 공개 ‘스타 기부 새 길 여나’ (0) | 2012.04.09 |
몰카도박은 강원랜드 등치려던 자작극 (0) | 2012.04.07 |
그리스 77세 은퇴 약사 권총자살 (0) | 2012.04.05 |
물건 확 버리고 싶어도 꾹 참는 까닭 (0) | 201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