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을 깊게 하기
생태계의 기본 법칙
흙돌이와 물순이, 은행나무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네요. 그런데 흙돌이와 물순이에게 문제가 생긴 것 같군요. 어떤 문제인지 다음 자료를 참고하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자료 1
팔당호, 곤충·조개류 급감··· 생태계 파괴 '비상'
국립 환경과학원 한강 물환경 연구소가 지난해 실시한 '팔당호 생태 조사 결과'에서 팔당호에는 52종의 수서 곤충과 조개류가 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003년 조사된 70종보다 18종이 줄었고, 82종이 서식하던 1988년과 비교하면 40% 가까이 적어진 수치입니다.
최근 잦은 홍수로 흐리고 더러운 물이 늘어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팔당호는 그 동안 양호한 생태계와 종 다양성을 갖춰 국내 최고 수준의 생태 보고로 꼽혀 왔습니다.
그러나 조개류가 줄면 조개 몸속에 산란하는 물고기도 함께 줄어 결국 생태계 파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흙탕물 저감 대책을 마련해 팔당호 생태계를 보전하는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해마다 자주 발생하는 홍수 때문에 급감하는 조개류 보호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SBS 뉴스 2007년 5월 14일
자료 2
우리나라는 농약의 과다 사용과, 전국에 산재해 있는 약 900여 개의 폐광산에서 광석 찌꺼기를 광산 주변에 방치하여 각종 유해 중금속들로 인한 토양 오염이 심각한 상태이다. 토양 오염을 처리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막대하게 든다.
생각해 볼 문제
1. 흙돌이와 물순이에게 닥친 문제는 무엇이고 원인은 뭔가요?
2. 흙돌이와 물순이의 문제 해결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3. '모든 생물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라고 전제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답은 한 단락으로 씁니다.)
자, 먼저 흙돌이와 물순이에게 닥친 문제와 원인을 찾아봅시다. 표로 작성하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일까요? 자연을 이용하는 방법과 인간이 노력해야 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생각해 봅시다.
구분 | 문제 | 문제의 원인 |
---|---|---|
흙돌이 |
토양 오염이 심각하다 |
농약 사용, 폐광산의 중금속 오염, 쓰레기 등 |
물순이 |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 |
생활하수, 공장 폐수, 축산 폐수 등 |
문제를 풀면서 생각해 보니, 환경오염 문제나 생태계의 파괴는 인간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행위의 결과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지요?
환경오염은 인구 증가나 산업 발달로 인한 각종 오염 물질의 증대, 오락이나 상업적인 목적을 위한 과도한 사냥, 포식자나 경쟁자 또는 병원성 생물과 같은 외래종의 이입 등도 그 원인이 됩니다.
또한 인간의 자연관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겠지요. 현대와 같은 산업사회에서 인류는 자기 위주로 생각하며 자연을 정복 대상으로 보는 자연관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인간과 자연은 별개의 것이라는 전제 하에 자연을 보호하려는 의도보다 개발하고 이용하려는 생각이 지배적이니 문제를 더욱 부추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지금까지 생각한 것들을 종합하면, 마지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왜 모든 생물은 연관되어 있을까요?
예시 글
생태계 내의 모든 생물은 마치 기계 부품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식물은 햇빛과 땅에서 양분을 얻고, 동물은 식물을 먹고 산다. 동물은 죽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땅으로 흡수되고 땅은 식물에게 다시 풍부한 영양분을 제공한다. 이처럼 모든 생물은 서로의 에너지와 양분을 주고받음으로써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식을 깊게 하기 (상위5%로 가는 생물교실3, 2008. 7. 10., 스콜라(위즈덤하우스))
'◈---친구 방(모셔온 글)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추는 어떤 조건의 물에서 잘 절여질까? (0) | 2016.11.13 |
---|---|
전통 발효 식품의 이해 (0) | 2016.11.13 |
배경 지식 점검하기 (0) | 2016.11.13 |
기능성 식물 (0) | 2016.11.13 |
바이러스와 백신 (0) | 2016.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