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방(모셔온 글)/자유게시판

사이코패스

손경형 2017. 8. 20. 08:08

심리학용어사전

사이코패스

[psychopath ]

요약 반사회적 행동, 공감 능력과 죄책감 결여, 낮은 행동 통제력, 극단적인 자기 중심성, 기만 등과 같은 사이코패시(psychopathy) 성향이 높은 사람
주요용어 정신병질자, 소시오패스, 반사회적 성격 장애, 클렉클리(Cleckley), PCL-R
분류 법정 심리학

1. 개요

사이코패스는 반사회적 행동, 공감 능력과 죄책감 결여, 낮은 행동 통제력, 극단적인 자기 중심성, 기만 등과 같은 특성을 포함하는데, 이런 성향을 높게 나타내는 사람을 사이코패스 또는 정신병질자라고 부른다. 클렉클리가 최초로 정신병질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했고, 이런 기준을 토대로 로버트 헤어가 사이코패스를 진단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PCL-R’ 을 개발했다.

2. 사이코패스(psychopath)의 개념

일종의 심리 특질인 사이코패시(psychopathy)는 폭력적이며 광기적인 인격 장애 측면에서의 정신병질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성향을 지닌 사람을 사이코패스(psychopath) 또는 정신병질자라고 부른다(박지선, 2012; 이수정, 2006). 사이코패스의 개념은 습관적으로 반사회적 행동을 저지르고 일반인과는 다른 정서적, 심리적 특성을 만성적으로 나타내는 유형의 사람들을 구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다(Bartol & Bartol, 2008).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 1세기가 넘도록 개념 자체가 통합되지 못했는데, 피넬(Pinel)은 잔혹함, 무책임, 도덕심의 결여와 같은 특징들이 현저하지만 정신착란 증세가 없는 조증 상태(mania without delirium)라고 했고, 프리처드(Prichard)는 도덕적 정신이상(moral insanity)이라고 했으며, 프로이트(Freud)는 미개발된 초자아(undeveloped superego)라고 명명했다(Andrews & Bonta, 2010).

또한 최근까지는 소시오패스(sociopath, 사회병질자)와 반사회적 성격 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와 개념이 혼동되기도 했다(신동준, 2011). 파티지(Partidge, 1928)는 유전적 성향보다는 잘못된 사회화 과정의 결과로 범죄성이 발달된 사람들을 소시오패스라고 불렀다(박지선, 2012에서 재인용). 1952년 미국의 정신의학회는 사이코패스라는 명칭 대신에 소시오패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범죄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통칭한 적이 있다(이수정, 2006).

하지만 사이코패스는 잠재적(심리학적, 생물학적, 유전적) 소양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하다는 입장이 제기되면서 1968년 미국 정신의학회는 DSM-III에서 이런 행동 특성을 반사회적 성격 장애라고 지칭했다(이수정, 2006). 그러나 반사회적 성격 장애를 진단하는 기준이 주로 반사회적 행동과 범죄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이코패스로 분류되는 범죄자들은 이런 기준에 쉽게 부합하지만, 반사회적 성격 장애자들이 모두 사이코패스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Shipley & Arrigo, 2001).

따라서 정신질병과 반사회적 성격 장애는 다른 개념으로 구별되어야 한다(Hare, 2005). 헤어(Hare)가 지적한 가장 큰 차이점은 반사회적 성격 장애 진단은 객관적 지표로서의 피검사자의 사회 일탈적인 행동에 주목하는 반면, 사이코패스 진단은 다양한 기준을 바탕으로 인성, 감정, 행동 등에 걸쳐 피검사자를 평가하는 다측면적인 평가로, 피검사자의 공감 능력, 피상적 매력, 과대망상 등 평가가 다소 유동적일 수 있는 항목에도 주목한다는 것이다(박지선, 2009).

클렉클리(Cleckley)가 1976년 저서 『정상인의 가면(The Mask of Sanity)』에서 사이코패스가 나타내는 다양한 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 최근에 알려진 사이코패스 개념의 기원이라고 볼 수 있다(블레어, 미첼, 블레어, 2012). 클렉클리가 제시한 사이코패스의 16가지 특성을 아래 표에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사이코패스는 외관상으로는 상당히 정상적으로 보이고 지능도 보통 수준 이상이지만, 극단적으로 이기적이며 타인을 목적 달성의 도구로 이용하고, 무책임하면서 냉담하고 쉽게 거짓말을 하는 특성이 있다(이수정, 2006).

클렉클리가 제시한 16가지 특성은 사이코패스의 개념에 대해 세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Andrews & Bonta, 2010). 첫째, 사이코패스는 환각이나 망상에 빠져 있는 사람이 아니고 정상인의 외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이코패스는 사회적 통제에도 반응이 없다는 점이다. 셋째, 범죄행동이 반드시 사이코패스로 진단을 내리기 위한 필요 조건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모든 범죄자가 사이코패스 특성을 보이지는 않으며, 범죄행위를 했다고 하여 사이코패스라고 볼 수 없다(마찬가지로, 사이코패스라고 하여 꼭 범죄를 저지른다고 볼 수 없다). 이런 점은 사이코패스와 다른 범죄자들을 다루고 치료하는 방법이 질적으로 상당히 달라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클렉클리의 정신병질 체크리스트 (Andrews & Bonta, 2010)

클렉클리의 정신병질 체크리스트 (Andrews & Bonta, 2010)
주요 특성 기타 특성

기만
외관상 멀쩡함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가짐
정신병적 증상(망상, 환각)이 없음
근심 걱정 부재
죄책감 결여
경험으로부터의 학습 실패
병리적인 자기 중심성
감정적으로 미성숙

문란한 성생활
신뢰할 수 없음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데 어려움
부정직함
진심으로 자살 시도를 하는 일은 드묾
충동적
반사회적 행동

3. 사이코패스 진단

클렉클리가 제안한 사이코패스 진단 기준을 토대로, 로버트 헤어(Robert Hare)는 사이코패스 성격을 실증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목적으로 사이코패시 체크리스트(Psychopathy Checklist)를 개발했다(Andrews & Bonta, 2010). 사이코패스의 특성이라 여겨지는 100개 이상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 목록을 처음에는 22개의 문항으로, 그리고 후에는 20개의 문항으로 줄인 사이코패시 체크 리스트-수정본(Psychopathy Checklist-Revised, PCL-R)(Hare, 1991)을 통해 사이코패스의 정도를 평가한다.

PCL-R 각 문항은 0점에서 2점 사이로 평정되며 총점은 40점이다. 북미권에서는 각 문항의 총점이 33-40점일 때 사이코패스 성향이 매우 높은 5등급으로 분류하고, 25-32점은 다소 높은 4등급, 17-24점은 보통인 3등급, 그리고 0-8점은 매우 낮은 1등급으로 분류한다(Hare, 1991). PCL-R의 20개 진단 문항을 표2에 제시했다.

즉, 반사회적 행동, 공감 능력과 죄책감 결여, 낮은 행동 통제력, 극단적인 자기 중심성, 기만 등과 같은 특성이 높게 나타나면 사이코패스, 즉 정신병질자로 평가된다(박지선, 2012; 이수정, 2006; 이수정, 김혜진, 2009; Hair, 1991).

PCL-R의 진단 문항 (박지선, 2012)

PCL-R의 진단 문항 (박지선, 2012)

1

입심 좋음 혹은 피상적 매력(glibness/superficial charm)

2

과도한 자존감(grandiose sense of self-worth)

3

자극 추구/쉽게 지루해 함(need for stimulation/proneness to boredom)

4

병적인 거짓말(pathological lying)

5

남을 잘 속임 혹은 조작적인 경향(conning/manipulative)

6

후회나 죄책감 결여(lack of remorse or guilt)

7

얕은 감정(shallow affect)

8

냉담함 혹은 공감 능력의 결여(callous/lack of empathy)

9

기생적인 생활양식(parasitic lifestyle)

10

낮은 행동 통제력(poor behavioral controls)

11

문란한 성생활(promiscuous sexual behavior)

12

아동기 문제 행동(early behavioral problems)

13

현실적, 장기적인 목표 부재(lack of realistic, long-term goals)

14

충동성(impulsivity)

15

무책임성(irresponsibility)

16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끼지 못함(failure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own actions)

17

여러 번 단기 혼인 관계(many short-term marital relationships)

18

청소년기 비행(juvenile delinquency)

19

조건부 가석방의 취소(revocation of conditional release)

20

다양한 범죄력(criminal versatility)

4. 사이코패스의 발생 원인

학자들은 사이코패스의 발생 원인에 대해 생물학적, 사회학적 요인 등 다차원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생물학적 설명은 뇌 기능의 이상이나 신경학적 설명에 근거를 둔다. 로버트 K. 레슬러(2004)는 행동을 통제하고 충동을 조절하는 부분인 전두엽 부분의 활성화가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일반인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사이코패스의 충동적 행동과 높은 각성 수준을 설명했다(김성, 2009).

또한 세로토닌과 MAMO 유전자의 이상은 사이코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선행 연구들은 공격성을 억제하는 세로토닌이 전두엽에 분비되지 않을 때 공격성이 증가한다는 것과, 인간의 몸 속에 효소를 조절하는 MAMO 유전자가 염색체의 이상으로 그 숫자가 적을 경우에 세로토닌이 줄어들고, 따라서 전두엽의 기능도 줄어 공격성, 즉 사이코패스와 유사한 증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김성, 2009). 어린 시절 뇌, 전뇌에 손상을 입었거나 기능 장애를 일으킨 결과 장기적인 계획 부족, 욕구 지연 능력 부족, 피상적 감정, 과민성, 공격성, 부적절한 사회 행동, 충동성 등 사이코패스의 특성들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사회학적 설명은 부정적인 사회화 과정과 그 결과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코패스가 나타내는 많은 반사회적 행동은 본래 도구적인 것인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 이용 가능한 행동 선택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목표 성취를 위해 반사회적 행동 수단으로서 사용한다는 이론이 있고, 부모와의 애착이 취약하여 윤리 발달이 저해되어 반사회적 행동, 품행 장애 혹은 공격성이 야기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Blair et al., 2012). 또한 부모의 반사회적 태도, 비일관적 훈육, 체벌, 빈약한 학업 성과, 와해된 가정, 아동기 분리 경험도 사이코패스와 관련 있다(Marshall & Cooke, 1999).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결합해 사이코패스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특히 헤어는 사이코패스가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이수정, 2006). 즉, 유전적 요인이나 기질 요인이 선행적으로 뇌 기능의 생물학적 토대와 기본 인격 형성에 영향을 주고, 여기에 환경과 경험이 더해져 사이코패스 성향이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5. 사이코패스에 대한 인지적 접근

사이코패스가 정상인과 구분되는 정보처리 과정을 겪는다는 것을 설명하는 일련의 인지 모델이 있다. 인지 모델은 사이코패스의 기능 장애에 대하여 완벽한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사이코패스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새로운 이론의 개발이나 이전 이론들의 보완, 그리고 예측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Blair et al., 2012).

사이코패스가 보이는 충동성이나 감정적인 결함은 의도적인 주의 집중을 통해 주변이나 정서적인 정보의 의미를 잘 처리하지 못한다는 반응집합조절 가설(response set modulation hypothesis)이 있다. 그리고 사이코패스들에게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서 장애는 공포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 생리 체계가 손상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공포기능장애 가설(fear dysfunction model)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아동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타인의 고통이 혐오스럽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런 고통을 야기한 행위가 혐오스럽다는 것도 이해하게 되지만, 사이코패스는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혐오스런 자극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둔감함을 보인다는 폭력 억제 메커니즘 모델(violence inhibition mechanism, VIM)이 있다.

6. 사이코패스에 대한 신경학적 접근

신경학적 구조를 참고하여 사이코패스에게서 보이는 기능적인 손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일련의 신경 모델들이 있다(Blair et al., 2012). 좌반구 활성화 가설(left hemisphere activation, LHA)은 사이코패스는 정상인보다 좌반구의 결함으로 언어적, 인지적 처리 과정에 결함을 보인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가설은 왜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상이 사이코패스 성향을 발전시키는지 분명히 설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뇌의 전두엽은 사회적 통제와 특정 행동 결과를 인식하는 능력과 같은 집행 기능(판단력과 기획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관장하는데(이수정, 김혜진, 2009), 전두엽의 집행 기능은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 있기 때문에 사이코패스가 보이는 독특한 심리 특성과 행동이 전두엽 장애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전두엽 기능 장애 가설(The frontal lobe dysfunction hypothesis)이 있다. 그러나 전두엽 손상이 직접적으로 사이코패스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인간이 의사 결정을 할 때는 육감 혹은 직감이 중요하게 관여하는데 어떤 사건이나 사물, 장소 등이 나쁜 감정 혹은 좋은 감정을 유발한 경험에 의해, 훗날 같은 경험을 할 때 불쾌한 감정을 유발하는 대안은 바로 배제하고 압축된 소수의 대안들 중에 합리적 사고에 따라 최종적으로 하나를 선택한다(도모노 노리오, 2007).

신체 표식(somatic marker) 가설에 의하면, 뇌의 전전두엽 중 복내측전두피질(안와전두피질 및 내측전두피질)은 이런 직감의 저장고인데 이곳에 손상이 있는 경우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혐오스러울 수 있는 사회적 재난, 신체 절단, 누드 장면과 같은 자극을 보아도 자율신경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며, 또한 불리한 상황이 다가와도 신체 표식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Damasio, 1994). 그러나 이것은 전두엽의 손상이 사이코패스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해도 직접적으로 사이코패스의 공격 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는 아직 부족함이 있다.

7. 사이코패스의 치료 가능성

사이코패스는 죄책감과 후회를 느끼지 않는다고 알려져 이들에 대한 치료를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지만 치료 방법이 전혀 없다고 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다체계 치료법(multisystemic therapy, MST)을 통해 사회 학습 이론들을 적용한 행동 프로그램(behavioral program)과 사이코패스 범죄자를 둘러싸고 있는 역기능적 체계를 모두 긍정적인 방향으로 구축하는 중재 방법이 있다(Harris & Rice, 2006).

아직 사이코패스에게 적용하지 않았던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킨다면, 일반적인 범죄자에게 사용했던 치료법들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증거들이 있다. 즉, 고위험 범죄자들은 집중적으로 관리 하고, 범죄를 야기하는 원인에 치료의 초점을 맞추어 인지 행동 중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Andrews & Bonta, 2010). 따라서 앞으로도 사이코패스 치료법에 관하여 더 많은 숙고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 결언

사이코패스 성향을 이해하려는 많은 노력 속에서 소시오패스, 반사회적 성격 장애 같은 용어가 나타났다. 클렉클리는 최초로 정신병질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했고, 이런 기준을 토대로 로버트 헤어가 ‘PCL-R’ 이라고 불리는 사이코패스를 진단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했다. 사이코패스는 반사회적 행동, 공감 능력과 죄책감 결여, 낮은 행동 통제력, 극단적인 자기 중심성, 기만 등과 같은 특성을 포함한다.

사이코패스의 원인을 설명하려는 다양한 이론과 가설이 있는데 사이코패스의 원인은 복합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사이코패스를 치료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알려져 있지만 특정한 치료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집필 : 김민지(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참고문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이코패스 [psychopath]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친구 방(모셔온 글)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리성 정체감 장애  (0) 2017.08.20
다중인격장애  (0) 2017.08.20
소시오패스  (0) 2017.08.20
반사회적 인격장애  (0) 2017.08.20
충동조절장애  (0) 2017.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