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 되는 플라스틱~
이젠 인류를 위협하는 무기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지요.
1907년 벨기에 화학자 레오 베이클라이트가 최초 개발되어,
인류의 생활 문화를 혁명적으로 성장시킨 플라스틱,
100년이 지나 플라스틱에 대한 생각을 돌이켜보는 통계가 2018년에 나왔습니다.
'90.5' 2018년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 선정된 그 숫자의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90.5' 이 숫자는 미국 캘리포니아대 로날드 기어 교수팀이 2017년에 발표한 ‘모든 플라스틱의 생산과 사용, 운명’이라는 논문에 등장합니다. 여기에서 90.5는 ‘1950년부터 2015년까지 만들어진 모든 플라스틱 쓰레기 중 재활용되지 않은 플라스틱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65년간 만들어진 플라스틱의 90.5%가 사용된 후 곧바로 쓰레기로 변한 겁니다.
연구팀은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의 플라스틱 사용 보고서에 나온 통계자료를 정리해 플라스틱의 생산과 이용량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65년간 총 83억t(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그중 63억t이 쓰레기가 되었다고 추정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선 9.5%에 해당하는 6억t만이 재활용되었고, 재활용되지 않은 90.5%의 쓰레기는 소각되거나(12.7%) 지구 어딘가에 그대로 방치(77.8%)되어 있습니다.
작년 11월 19일 인도네시아에 있는 와카토비섬 해변에서 향유고래의 사체가 발견됐습니다. 그런데 이 사체를 조사하던 중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향유고래 뱃속에 들어 있었던 겁니다.
약 9.5m에 달하는 향유고래의 사체에서는 플라스틱 컵 115개, 플라스틱 병 4개, 비닐봉지 25개, 실 뭉치, 슬리퍼 2개 등 총 6kg에 가까운 쓰레기들이 나왔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해양생물보존 담당자인 드위 수프라피는 “사체가 심하게 부패되어 향유고래가 왜 죽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우리가 마주한 쓰레기들은 정말 끔찍했다"라고 밝혔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플라스틱으로 고통받고 있는 동물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사람과 달리, 동물은 플라스틱과 음식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합니다.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은 동물들은 배부름을 느끼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않아 영양실조로 죽습니다. 헤엄을 치다가 그물이나 플라스틱 고리에 몸이 끼어서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 죽기도 합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에 의해 고통받는 동물들이 어디에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 등의 피해 상황은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답니다.
국내에서도 플라스틱 줄이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 갑작스럽게 비닐류가 재활용 쓰레기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졌습니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재활용률을 70%까지 끌어올리는 내용의 종합 대책을 제안했습니다.
일부 홈쇼핑 업체는 식품을 배달할 때엔 스티로폼 대신 재사용이 가능한 아이스팩을 사용하고, 비닐 테이프 대신 종이테이프를 사용하는 등의 시도를 시작했습니다. 마트에서는 일회용 비닐봉지 대신 재사용이 가능한 장바구니를 대여하는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 동아사이언스
[출처] 인간을 위협하는 숫자 '90.5'를 기억하세요|작성자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친구 방(모셔온 글) >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중력, 우주 생활 불편 해소할 수 있다 (0) | 2019.03.29 |
---|---|
의사는 자신이 암에 걸리면 어떤 치료를 할까? (0) | 2019.03.29 |
미세먼지 (0) | 2018.11.30 |
[스크랩] 잠시 감상해 주세요. (0) | 2018.04.25 |
[스크랩] ★음악 저작권 검색기★ 꼬옥 참고 하세요 (0) | 2018.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