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방(모셔온 글)/자유게시판

사회적책임

손경형 2017. 8. 20. 07:41

한경 경제용어사전

사회적책임

[social responsibility ]

약어 SR

사회적책임(SR)은 기업이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투명경영ㆍ봉사 등에 앞장서는 것을 의미하는 기업의 사회적책임인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서 'C'(Corporate)를 삭제,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ㆍ노조ㆍ시민단체 등에게도 사회적책임이 적용되도록 한 개념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늦어도 오는 2008년까지 SR 국제표준을 제정한다는 방침인데다 각 국이 자국 시장 진입 방어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국가나 기업이 지켜야 할 사회적 책임. 기업은 물론 각종 기관이나 단체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사회적 책임(SR)에 대한 국제 표준 ISO 26000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2010년에 제정되었다. 사회적 책임 표준(ISO 26000)의 핵심은 환경과 인권, 노동 관행, 조직 지배 구조, 공정한 운영 관행, 소비자, 지역 사회 참여 및 사회 개발 등 7가지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적 책임 [Social Responsibility, 社會的責任]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마지막 수정일

  • 2005.10.06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적책임 [social responsibility]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사회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사회질문사전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분야 경제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학년 단원

중학교

3학년

일상생활과 경제 주체의 역할

고등학교

1학년

경제 성장과 삶의 질

고등학교

 

「경제」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본문 이미지 1

 

저는 기업을 운영하는 CEO가 되는 게 꿈이에요. 저는 무조건 이윤만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을 하는 기업을 운영하고 싶어요. 그런데 친구들은 돈 버는 일도 쉽지 않는데 좋은 일까지 하면서 돈을 버는 게 가능하겠냐면서 그냥 꿈일 뿐이라고 해요. 정말 그럴까요?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도 많다

기업의 목적은 이윤 추구입니다. 하지만 원칙도 없이 법도 지키지 않으면서 이윤만 추구한다면 잘못이겠지요. 축구 경기에서 골을 많이 넣어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기 규칙을 위반하면 안 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 주변의 많은 기업과 기업인들은 어려운 조건에서도 법과 원칙을 지키면서 기업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몇몇 악덕 기업들 때문에 ‘기업의 이윤 추구’라고 하면 나쁜 이미지가 떠오르기도 하지만, 그것은 일부 기업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어떤 기업들은 그저 법을 잘 지키는 것을 넘어 훌륭한 원칙들을 지키면서 기업 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유한양행의 창업주인 유일한 사장은 생전에 모은 재산을 자녀들에게 물려주지 않고 사회에 환원하여 지금까지도 훌륭한 기업가의 모범으로 얘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재벌 기업들이 불법적으로 자녀에게 막대한 재산을 세금도 없이 물려주는 것에 견주면 정말 아름다운 일입니다. 또한 세계적인 화장품 생산 기업인 더 바디샵은 화장품 업계의 관행처럼 되어 있는 동물 실험을 하지 않고, 환경 보호와 인권보호에 앞장서고 있어요.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본문 이미지 2

가수 부부인 타이거JK와 윤미래가 화장품 더바디샵의 아동, 청소년 인권 보호 캠페인에 참여했다.

기업은 혼자 힘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기업이 이윤 추구만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까지 생각해야 하는 까닭은 기업이 혼자 힘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업은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구매해주는 소비자 덕분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동자에게 좋은 노동 환경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좋은 제품으로 보답하는 것은 기업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적 책임입니다. 나아가 기업은 지역 공동체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도로나 발전소 등 여러 사회 기반 시설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도 세금으로 운영되는 학교에서 교육받은 사람들입니다. 또한 기업은 지구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생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와 지구 환경에 대한 책임도 있는 것입니다.

이런 무한 경쟁 시대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어떻게 돈벌이를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하지만 요즘은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서 일부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는 일이 많습니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은 그 덕분에 좋은 기업 이미지를 쌓아서 기업의 매출 향상에도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사회적 책임이 존재 이유인 기업

최근에는 사회적 책임을 이윤 추구보다 앞선 목표로 두는 기업들도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기업들을 ‘사회적 기업’이라고 합니다.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입니다. 사회적 기업의 이념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을 하기 위해 빵을 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본문 이미지 3

 

최근에는 사회적 약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터치포굿, 에듀머니, 에듀머니, 페어트레이드코리아, 노리단 홈페이지)

전국의 사회적 기업(2010. 7. 30. 기준)

전국의 사회적 기업(2010. 7. 30. 기준)

 

우리나라에도 사회적 기업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이를테면 ‘페어트레이드코리아’는 가난한 제3세계 국가의 제품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가 다른 회사들과 다른 점은 제3세계 국가들에서 무조건 싼값으로 사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 사람들에게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주고 제품을 사들인다는 것입니다. 커피 생산자들한테 제값을 주고 사온 질 좋은 커피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에게 ‘착한 커피’라는 별명을 얻으면서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터치포굿’은 버려지는 물건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한 사회적 기업입니다. 이들은 다 쓴 플래카드처럼 버려지는 물건을 재활용해서 가방 같은 물건을 만들어 판매합니다. ‘노리단’은 재활용품으로 만든 악기를 가지고 공연을 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우리는 축제현장에서 노리단의 공연을 만나기도 합니다. 노리단의 활동은 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어서 다른 나라에서도 노리단의 활동을 배우러 찾아오기도 한다는군요. ‘에듀머니’는 재무 컨설팅을 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재무 컨설팅이라고 하면 주로 돈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에듀머니는 경제 정보나 금융 정보가 부족해서 고통을 받거나 불이익을 당하는 서민들을 위해 경제교육이나 금융교육을 실시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꿈을 가지고 있나요?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해보고 싶은 사람, 기업가가 되고 싶은 사람은 사회적 기업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아주 새로운 곳에서 멋진 일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돈도 잘 버는 기업은 없나요? (사회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사회질문사전, 2011. 11. 1., 북멘토)

 

 

'◈---친구 방(모셔온 글)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임감 분산  (0) 2017.08.20
자유의지  (0) 2017.08.20
명상  (0) 2017.08.19
이이  (0) 2017.08.17
이황  (0) 2017.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