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절반 정도는 아버지와 거의 대화 안 해"
YTN 입력 2012.05.02 13:13 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앵커멘트]
우리나라 청소년의 절반 정도는 아버지와 전혀 대화를 하지 않거나 대화를 하더라도 하루 평균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청소년 10명 중 7명이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청소년 통계를 보면, 매일 아버지와 대화하는 시간이 30분 미만이라고 답한 청소년의 비율이 42.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혀 대화를 하지 않는다는 대답도 6.8%에 달했습니다.
반면 어머니와는 절반가량이 하루 평균 한 시간 이상 대화한다고 답했고, 30분 미만이라는 대답은 22.4%에 그쳤습니다.
부모님과 대화하는 주제로는 학교생활에 대한 게 가장 많았고 자신의 고민 등에 대해서는 거의 대화를 나누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청소년 10명 가운데 7명은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도 8.8%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로는 공부가 38.6%로 가장 많았고 직업과 외모 문제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용 방법으론 TV와 DVD 시청이 61.6%로 가장 많아 청소년들에게 좀 더 많은 스포츠와 문화예술 활동 기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리나라 청소년의 절반 정도는 아버지와 전혀 대화를 하지 않거나 대화를 하더라도 하루 평균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청소년 10명 중 7명이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청소년 통계를 보면, 매일 아버지와 대화하는 시간이 30분 미만이라고 답한 청소년의 비율이 42.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혀 대화를 하지 않는다는 대답도 6.8%에 달했습니다.
반면 어머니와는 절반가량이 하루 평균 한 시간 이상 대화한다고 답했고, 30분 미만이라는 대답은 22.4%에 그쳤습니다.
부모님과 대화하는 주제로는 학교생활에 대한 게 가장 많았고 자신의 고민 등에 대해서는 거의 대화를 나누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청소년 10명 가운데 7명은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도 8.8%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로는 공부가 38.6%로 가장 많았고 직업과 외모 문제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용 방법으론 TV와 DVD 시청이 61.6%로 가장 많아 청소년들에게 좀 더 많은 스포츠와 문화예술 활동 기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청소년 20% 자살 충동"…극단적인 생각, 왜?
- 2012-04-21 05:03
[앵커멘트]
최근 학교폭력 때문에 자살하는 청소년들이 잇따라 생겨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었는데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등의 문제로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꼴로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5월부터 6월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9,435명을 상대로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결과 5명 중 1명꼴인 19.5%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보면 여학생이 24%로 남학생 15.3%보다 높았고, 학교별로 보면 중학생이 23.5%, 고등학생이 21.1%, 초등학생이 13.7%였습니다.
학생들의 스트레스 중에선 학업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진로, 외모, 부모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최인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청소년 자살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요인이 학업과 관련된 부분이고요. 집단 괴롭힘으로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집단 괴롭힘이나 폭력과 같은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의 또다른 큰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급 학교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정신건강 수준도 악화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우울과 불안 등 부정적 요소의 점수가 높아졌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등 긍정적 요소의 점수는 낮아졌습니다.
또 고등학생 2명 중 1명꼴인 51.4%가 술을 마신 경험이 있었고, 고등학생 5명 중 1명꼴인 23.3%가 담배를 피운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술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담배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며 많이 접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최근 학교폭력 때문에 자살하는 청소년들이 잇따라 생겨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었는데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등의 문제로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꼴로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5월부터 6월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9,435명을 상대로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결과 5명 중 1명꼴인 19.5%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보면 여학생이 24%로 남학생 15.3%보다 높았고, 학교별로 보면 중학생이 23.5%, 고등학생이 21.1%, 초등학생이 13.7%였습니다.
학생들의 스트레스 중에선 학업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진로, 외모, 부모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최인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청소년 자살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요인이 학업과 관련된 부분이고요. 집단 괴롭힘으로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집단 괴롭힘이나 폭력과 같은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의 또다른 큰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급 학교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정신건강 수준도 악화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우울과 불안 등 부정적 요소의 점수가 높아졌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등 긍정적 요소의 점수는 낮아졌습니다.
또 고등학생 2명 중 1명꼴인 51.4%가 술을 마신 경험이 있었고, 고등학생 5명 중 1명꼴인 23.3%가 담배를 피운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술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담배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며 많이 접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 Copyrights ⓒ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잠 못 자는 청소년'...'성적에도 영향'
- 2011-12-12 19:32
[앵커멘트]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가운데 8∼9명은 평소 잠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적은 수면 시간은 신체적 건강은 물론 지적 성장에도 영향을 미쳐 학업 능력을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김호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을 물어봤습니다.
[녹취]
"6시간 자는 학생?"
학업 일정 때문에 대부분 하루 6시간 미만 잠을 자고 있었습니다.
[인터뷰:전희주, 광양고등학교 1학년]
"야간 자율학습이 11시에 끝나는데 집에 11시반 쯤 도착해서 씻고 모자란 공부하기도 하면 적어도 12시반 쯤에 자서 잠이 부족한 것 같아요."
실제로 질병관리본부가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사이 청소년들의 건강 행태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수면 시간이 중학생들은 7시간 6분,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5시간 30분, 특성화계 고등학생은 6시간 16분이었습니다.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 권고하는 8시간 반에서 9시간 반에는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8시간 30분 미만 수면을 취하는 우리나라 중학생은 88.5%, 일반계 고등학생은 99.2%나 됐습니다.
10명 가운데 8∼9명이 평소 잠이 부족한 상태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잠이 모자라면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은 물론 학업 능력도 영향을 받습니다.
[인터뷰:박동선, 수면 전문의]
"깊은 잠 자체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지적 성장과 신체적 성장을 다 담당하고 있거든요, 특히 지적 성장 부분에 있어서는 특정한 양의 깊은 잠이 나오지 않으면 단기 기억력이나 장기 기억력에 손상을 입게 됩니다."
또 잠 자는 시간이 5시간 미만인 학생은 7∼8시간을 자는 학생보다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인터넷 이용시간 등의 건강 행태도 나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때문에 수면 전문의들은 평소에 건강한 잠, 깊은 잠을 규칙적으로 잘 것을 권고합니다.
특히 TV나 컴퓨터 화면에서 나오는 파장은 깊은 잠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 자기 2∼3시간 전에는 이들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YTN 김호준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가운데 8∼9명은 평소 잠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적은 수면 시간은 신체적 건강은 물론 지적 성장에도 영향을 미쳐 학업 능력을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김호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을 물어봤습니다.
[녹취]
"6시간 자는 학생?"
학업 일정 때문에 대부분 하루 6시간 미만 잠을 자고 있었습니다.
[인터뷰:전희주, 광양고등학교 1학년]
"야간 자율학습이 11시에 끝나는데 집에 11시반 쯤 도착해서 씻고 모자란 공부하기도 하면 적어도 12시반 쯤에 자서 잠이 부족한 것 같아요."
실제로 질병관리본부가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사이 청소년들의 건강 행태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수면 시간이 중학생들은 7시간 6분,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5시간 30분, 특성화계 고등학생은 6시간 16분이었습니다.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 권고하는 8시간 반에서 9시간 반에는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8시간 30분 미만 수면을 취하는 우리나라 중학생은 88.5%, 일반계 고등학생은 99.2%나 됐습니다.
10명 가운데 8∼9명이 평소 잠이 부족한 상태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잠이 모자라면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은 물론 학업 능력도 영향을 받습니다.
[인터뷰:박동선, 수면 전문의]
"깊은 잠 자체는 청소년기에 있어서 지적 성장과 신체적 성장을 다 담당하고 있거든요, 특히 지적 성장 부분에 있어서는 특정한 양의 깊은 잠이 나오지 않으면 단기 기억력이나 장기 기억력에 손상을 입게 됩니다."
또 잠 자는 시간이 5시간 미만인 학생은 7∼8시간을 자는 학생보다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인터넷 이용시간 등의 건강 행태도 나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때문에 수면 전문의들은 평소에 건강한 잠, 깊은 잠을 규칙적으로 잘 것을 권고합니다.
특히 TV나 컴퓨터 화면에서 나오는 파장은 깊은 잠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 자기 2∼3시간 전에는 이들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YTN 김호준입니다.
- Copyrights ⓒ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흡연·음주 청소년이 더 불행" 2012-03-05 09:42
흡연과 음주를 하는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또래에 비해 행복지수가 현저히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에식스대학 사회경제연구소가 10살에서 15살 사이의 청소년 5천 명을 오랜 기간 추적해 연구한 결과 음주 경험이 없는 청소년들은 음주하는 집단에 비해 행복지수가 4∼6배 높았으며, 비흡연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도 흡연 집단보다 5배나 높았습니다.
반면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고, 과자나 음료수 등 가공식품을 적게 먹을수록 행복지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흡연과 음주를 하는 청소년들은 이런 부정적 습관 때문에 자신을 불행한 집단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때문에 불행하다는 생각이 커지는 악순환이 생긴다고 설명했습니다.
영국 에식스대학 사회경제연구소가 10살에서 15살 사이의 청소년 5천 명을 오랜 기간 추적해 연구한 결과 음주 경험이 없는 청소년들은 음주하는 집단에 비해 행복지수가 4∼6배 높았으며, 비흡연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도 흡연 집단보다 5배나 높았습니다.
반면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고, 과자나 음료수 등 가공식품을 적게 먹을수록 행복지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흡연과 음주를 하는 청소년들은 이런 부정적 습관 때문에 자신을 불행한 집단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때문에 불행하다는 생각이 커지는 악순환이 생긴다고 설명했습니다.
- Copyrights ⓒ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소년 사망원인 1위… '자살'
뉴시스 이혜원 입력 2012.05.02 12:02 수정 2012.05.02 14:33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서울=뉴시스】이혜원 기자 =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인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2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0년 청소년(15~24세)의 사망원인 중 1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청소년 자살자 수는 13명이었다. 교통사고, 암, 심장질환, 익사사고가 그 뒤를 이었다.
중·고등학생의 10명 중 1명은 담배를 피우며 이들 중 직접 담배를 구매한 비율은 50.4%로 나타났다. 흡연자 2명 중 1명이 직접 담배를 사다 피우는 것이다.
중·고등학생의 10명 중 2명은 술을 마시며 이들 중 직접 술을 구매한 학생들은 31.1%인 것으로 드러났다. 술을 마시는 학생 10명 중 3명이 직접 술을 사다 마시는 셈이다.
청소년 10명 중 7명이 학교 생활과 전반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공부(38.6%)와 직업(22.9%)이 이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였다.
청소년의 37.4%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73.1%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 역시 14.3%로 2006년 11.6% 2008년 11.2%보다 크게 높아졌다.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의 키는 10년 전에 비해 1.7cm가 컸고 몸무게는 3.8%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jaelee@newsis.com
<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2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0년 청소년(15~24세)의 사망원인 중 1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청소년 자살자 수는 13명이었다. 교통사고, 암, 심장질환, 익사사고가 그 뒤를 이었다.
2010년 청소년의 8.8%가 '지난 1년 동안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경험이 있다. 가장 큰 이유는 15~19세는 '성적 및 진학문제(53.4%)' 20~24세는 '경제적 어려움(28.1%)'과 '직장문제(15.8%)'였다.
중·고등학생의 10명 중 1명은 담배를 피우며 이들 중 직접 담배를 구매한 비율은 50.4%로 나타났다. 흡연자 2명 중 1명이 직접 담배를 사다 피우는 것이다.
중·고등학생의 10명 중 2명은 술을 마시며 이들 중 직접 술을 구매한 학생들은 31.1%인 것으로 드러났다. 술을 마시는 학생 10명 중 3명이 직접 술을 사다 마시는 셈이다.
청소년 10명 중 7명이 학교 생활과 전반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공부(38.6%)와 직업(22.9%)이 이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였다.
청소년의 37.4%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73.1%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 역시 14.3%로 2006년 11.6% 2008년 11.2%보다 크게 높아졌다.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의 키는 10년 전에 비해 1.7cm가 컸고 몸무게는 3.8%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jaelee@newsis.com
<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친구 방(모셔온 글) > 수다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와 여자는 단순한 친구가 될 수 없다 (0) | 2012.05.08 |
---|---|
치매 노인 전유물 아니다…중년 치매 늘었다 (0) | 2012.05.07 |
전과 15범 도피 도운 경찰관, 알고보니 6년간 내연관계 (0) | 2012.04.27 |
독극물 범인 빨리 잡아야 하는데… 답답혀유 (0) | 2012.04.27 |
지하철역을 주차장인 줄 알고 (0) | 201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