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방(모셔온 글)/자유게시판

인간

손경형 2017. 8. 20. 09:06

인간1

명사 1 . [같은 말] 사람(1. 생각하고 언어사용하며, 도구만들어 쓰고 사회이루어 사는 동물).

2 . 사람사는 세상.
3 . [같은 말] 사람(3. 일정한 자격이나 품격 등을 갖춘 이).
4 . 마음달갑지 않거나 마땅 않은 사람낮잡아 이르는 .
5 . [북한어] 식구1’를 이르는 .

속담/관용구

속담
인간 구제는 지옥 밑[늧]이라
사람을 곤경에서 구해 주고도 도리어 그로부터 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간 만사는 새옹지마라
    인간의 길흉화복은 돌고 돈다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간은 고해()라
      괴롭고 힘든 인생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간은 만물의 척도
        인간이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됨을 이르는 말.
          관용구
          인간 같지 않다
          [같은 관용구] 사람 같지 않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반대말
          (주) 낱말 – 유의어/반의어 더보기
          연관단어

          같은말 사람 | 옛말 간

           

           

           

           

          두산백과

          인간

          [human being, ]

          요약 동물의 일원이지만 다른 동물에서 볼 수 없는 고도의 지능을 소유하고 독특한 삶을 영위하는 고등동물이다.

          조직사회를 이루고 언어도구를 사용하면서 생활을 한다. 이 같은 생활방법은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각자가 생후에 사회에서 습득하며, 자손에게 전해지는 것이다. 신체적 특징은 생물로서의 유전법칙에 의해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해지지만, 생후에 습득한 언어나 기술은 사회를 통해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진다. 생후에 획득한 신체적 형질()은 다음 대에 유전되지 않지만, 어떤 세대에서 발명되고 개선된 생활기술은 다음 세대에 계승되고 발전한다. 이 같이 신체의 진화와 생활기술의 진보는, 각자에 따라 발전의 방법을 전적으로 달리하고 있다.

          초기의 인간은 어느 쪽의 발전도 지극히 완만했으나, 생활기술의 발전은 점차 그 속도를 빨리하여 생물로서의 진화를 앞지르게 되었다. 이제는 인간의 진화는 정지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같은 인간 특유의 생활기술도, 그 근원을 거슬러올라가면 역시 인간이 동물로서의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한 생물로서의 특성에 기인한 것에 불과하다. 일찍이 지혜를 간직한 뇌의 발전은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답게 하는 근원이라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화석인류()와 문화유물에 나타난 증거에서, 이족직립보행()에 알맞은 신체구조의 변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뇌의 발달은 이보다 늦게 진행되었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그리하여 인간의 생물로서의 특성에 바탕을 두고 성립된 생활기술은 반대로 생물로서의 진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었고, 지구상에 출현한 지 200만 년에 이르러 오늘날 지구상에 널리 퍼져, 독특한 생활을 영위하는 인간세계를 나타나게 하였다.

          참조항목

          유전법칙, 인류

          역참조항목

          야생아, 인간성, 페르소나

          출처

          제공처 정보

          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이용허락 문의하기

          '◈---친구 방(모셔온 글)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이의 역사인식과 개혁사상  (0) 2017.08.21
          인간의 역사와 사상의 발생  (0) 2017.08.21
          로봇 시대  (0) 2017.08.20
          우울증  (0) 2017.08.20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 제 1권  (0) 2017.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