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50 human-animal hybrids grown in British lab  | |
Scientists have created more than 150 human-animal hybrid embryos in British laboratories.
The hybrids were produced secretively over the past three years by researchers looking into possible cures for a wide range of diseases, the Daily Mail reported in its online edition.
The revelation comes just a day after a committee of scientists warned of a nightmare "Planet of the Apes" scenario in which work on human-animal creations goes too far.
A campaigner against the excesses of medical research said he was disgusted that scientists were "dabbling in the grotesque."
The 155 "admixed" embryos, containing both human and animal genetic material, have been crea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08 Human Fertilization Embryology Act, the daily reported.
This legalized the creation of a variety of hybrids, including an animal egg fertilized by a human sperm; "cybrids," in which a human nucleus is implanted into an animal cell; and "chimeras," in which human cells are mixed with animal embryos.
Scientists say the techniques can be used to develop embryonic stem cells which can be used to treat a range of incurable illnesses.
Three labs in Britain at King’s College London, Newcastle University and Warwick University were granted licenses to carry out the research after the Act came into force.
All have now stopped creating hybrid embryos due to a lack of funding, but scientists believe that there will be more such work in the future.
The figure was revealed to crossbench peer Lord Alton following a parliamentary question.
He said: "I argued in Parliament against the creation of human- animal hybrids as a matter of principle. None of the scientists who appeared before us could give us any justification in terms of treatment.
"Ethically it can never be justifiable it discredits us as a country. It is dabbling in the grotesque.
"At every stage the justification from scientists has been: if only you allow us to do this, we will find cures for every illness known to mankind. This is emotional blackmail.
"Of the 80 treatments and cures which have come about from stem cells, all have come from adult stem cells not embryonic ones.
on moral and ethical grounds this fails; and on scientific and medical ones too."
Josephine Quintavalle of pro-life group Comment on Reproductive Ethics, said: "I am aghast that this is going on and we didn’t know anything about it.
"Why have they kept this a secret? If they are proud of what they are doing, why do we need to ask Parliamentary questions for this to come to light?
"The problem with many scientists is that they want to do things because they want to experiment. That is not a good enough rationale." |

인간+동물 ‘이종 배아’ 충격… ‘혹성탈출’ 현실로?
인간과 동물의 생식세포나 유전자가 혼합된 ‘이종 배아’가 영국에서 150개 이상 만들어진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영국 의학과학원이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간) 동물에게 인간의 특질을 부여하는 실험이 윤리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지 몇일 만에 알려져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영국 의학과학원이 경고한 내용은 인간의 정자와 난자를 동물과 섞어 교배하는 등의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완전히 허무는 실험이다.
의학과학원 측은 이같은 실험이 현재 법적으로 제재 장치가 없으며 규제없이 연구가 발전될 경우 영화 ‘혹성탈출’ 이 현실화 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는 것으로 보고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5일 “지난 2008년 영국에서 인간 수정 배아법이 제정된 이래 인간과 동물간 이종 배아가 총 155개 만들어져 뉴캐슬 대학 등 3곳에 보관돼 있다.”고 보도했다.
또 “현재는 연구 자금이 부족해 실험이 중단된 상태이나 과학자들은 향후 이같은 실험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과학자들이 인간의 줄기세포 등을 동물에 이식하는 것은 인간의 희귀병 치료 목적 때문이다.
다음달 개봉예정인 영화 ‘혹성탈출 : 진화의 시작’에서도 주인공은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아버지를 치료하고자 침팬지를 이용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
자외선 비추면 형광색… 복제개 첫 탄생
특정 약물에 반응 형질전환…서울대 이병천 교수팀 성공 2011년 07월 28일
|

필요할 때만 특정 유전자가 발현되는 개를 체세포 복제 기술을 통해 생산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서울대 이병천 수의과대 교수팀은 독시사이클린이라는 항생제를 먹으면 녹색형광단백질(GFP)이 발현하는 형질전환 복제개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특정 유전자가 처음부터 발현된 채 태어나는 보통의 유전자 형질전환과는 달리 원하는 형질을 필요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은 연구용 개에서 체세포를 얻어 해파리 등에 존재하는 녹색형광유전자와 함께 독시사이클린 반응 유무에 따라 발현 ‘스위치’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함께 주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고, 이 난자를 대리모 개에 착상시켜 새끼를 낳는 방법으로 체세포 복제개 ‘테곤(Tegon)이’를 얻었다. 테곤이는 현재 서울대 안에서 사육되고 있다.
테곤이는 평상시 일반 비글 개와 똑같지만, 독시사이클린을 투여하자 2주 후에 녹색형광 유전자가 발현해 자외선을 비추면 형광색을 띠었다. 하지만 약물을 끊자 9주 후에는 다시 형광색이 사라졌다. 이 교수는 “외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제개 생산은 세계에서 처음”이라며 “개의 260여 가지 질병이 사람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만큼 개를 이용한 질환 모델 등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제네시스(Genesis)’ 6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김규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youtae@donga.com
길 위에서 차 사고 당한 괴생명체
아시아경제 | 이진수 | 입력 2011.08.08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미국 미네소타주의 한 도로 위에서 차에 치여 숨진 동물이 발견됐으나 정체가 밝혀지지 않아 의구심만 키우고 있다. ABC TV의 자회사인 KSAX TV는 5일(현지시간) 미네소타주 알렉산드리아의 86번 도로에서 발견된 이 '로드킬'(길에서 차에 치여 죽은 동물)을 두고 "개다, 오소리다, 미 정부가 비밀리에 실험하다 생긴 동물이다" 등등 말들이 많다고 전했다. 미네소타주 천연자원보전부(DNR) 관계자들조차 동물 사체의 정체를 둘러싸고 고개만 갸우뚱하고 있을 정도.
로드킬을 발견한 이는 현지 주민인 레이시 일스. 그는 "어느날 차 몰고 86번 도로를 달리다 차에 치여 죽은 동물 사체를 발견했으나 털이 없어 개인지 고양이인지 분간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정체 불명의 동물은 등에 한 움큼의 털만 나 있을 뿐 나머지 부위에는 털이 없다. 두 귀도 기형이다. 일스가 괴생명체의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려놓은 뒤 발가락 다섯 개에 발톱이 긴 녀석의 정체를 둘러싸고 네티즌들 사이에서 온갖 추측이 난무했다. 누리꾼들 사이에서 스컹크, 돼지, 오소리, 늑대라는 설이 오가더니 심지어 전설 속의 흡혈괴물 ' 추파카브라'라는 말까지 나왔다. DNR의 케빈 코츠 대변인은 "오소리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며 "앞발의 긴 발톱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머리만 보면 집에서 키우던 개일 수도 있다. 그러나 DNR 측은 "오른쪽 앞발 발가락이 다섯 개에다 발톱이 길다는 점에서 볼 때 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 이진수기자의 글로벌핑크컬렉션 보기 |